토사구팽은 국민의 힘 이준석 전 당대표화 연결되서 정치권에서 많이 사용 되었지만 일상 생활에서도 자주 쓰는 사자성어다.
보통 '토사구팽 당한다'고 많이 쓰는데 좋은 상황에서 쓰는 말은 아니고 어떤 일에 필요할 때는 필요에 의해 이용하고 원하는 상황을 다 이룬 다음에 쓸모없어지면 버림받는 다는 것이 토사구팽 뜻 이다.
토사구팽 뜻
兎死狗烹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끼 사냥이 끝나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 없게 되어 잡아 먹는다는 뜻
토사구팽 유래
이제 토사구팽 유래도 알아보도록 하자
토사구팽이란 말은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재상 범려의 말에서 유래되었다.
중국 춘추시대 인물 문종(文種)과 범려(范蠡)는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웠지만 오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범려는 월(越)나라왕 구천을 믿을 수 없는 인물이라고 생각하여 월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갔다.
그후 범려는 남아있는 문종이 걱정되어 월나라를 떠나라고 조언했으나 문종은 조언을 듣지 않았고, 결국 구천에게 자결을 강요받고 자결하게 된다.
토사구팽은 범려가 문종에게 쓴 서신에 들어있는 내용에서 유래되었다.
월왕구천세가의 [토사구팽] 관련부분
범려(范蠡)는 (월나라를) 떠나 날던 새가 다 잡히면 좋은 활은 감추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삶아 먹는 법이오.
월왕(越王) 구천(句踐)은 목이 길고 입은 새처럼 뾰족하니
근심과 어려움은 함께 할 수 있어도 즐거움은 함께 할 수 없소
그대는 어찌하여 떠나지 않는 것이오?
문종은 편지를 보고 병을 핑계로 조정에 들어가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문종이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고 참언을 하자 월왕은 이에 칼을 내리며 말하기를
그대는 오(吳)나라를 칠 7가지 계책을 과인에게 가르쳐 주었는데
과인은 그 중 3가지를 사용해서 오나라를 물리쳤소. 나머지 4가지는 그대에게 있으니
그대는 나를 위해 선왕(先王)을 따라가서 그것을 시험해보도록 하시오.
문종은 결국 자살했다.
토사구팽 뜻과 유래를 보면 사람은 믿을 만한 존재가 되지 못하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진심으로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비로소 성공한 뒤에는 무참하게 버려지는 서글품도 느껴지는데 예나지금이나 다른사람을 자기의 성공 도구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아 많은 씁쓸한 마음이 든다.
토사구팽 당하지 않게 스스로를 지키는 것이 매사에 노력하는 만큼이나 인생을 살때 꼭 필요한 부분인 것 같다.
댓글